top of page

Exploration Story

한국자원개발연구원은 지하천연자원 탐사 개발과 관련하여 다양한 성공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 BOURBON CONS. Oil Field

 

미국 일리노이주 Douglas에 위치한 Bourbon Cons. Oil Field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합시다. 

 

이 field는 1956년부터 1986년에 이르기까지 총 109개의 wells을 시추하였습니다. 그 많은 wells중에서 현재 생산 중인 well은 22개에 불과합니다.  1956년에 처음 발견한 이 oil well은 2009년까지 총 생산량은 1,861,200배럴입니다. 

 

현재 기준으로 배럴 당 U$100으로 원유가격을 봤을 때, U$1.861억 달러가 됩니다. 2007년 기준 crude oil의 well당 시추평균 가격이 U$4 million이니깐 시추비용도 현재 가격으로 계산하면 109 x U$4 million = U$4.36억 달러가 됩니다. 물리탐사비나 조광료 비용은 아예 고려를 하지 않더라도, 시추 비용만 놓고 보았을 때, Bourbon Cons. oil field에서 약 U$2.5억 달러 손해를 본 셈인 것이죠. 

 

석유탐사 개발 사업은 성공만 하면 큰 이익을 얻는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이 oil field에서는 성공을 했음에도 엄청난 손해가 발생한 꼴 입니다.

 

왜 이런 결과를 초래했을까요?

 

한국자원개발연구원에서는 그 원인을 알고 있습니다. 그들은 이 oil field의 reservoir 구조를 정확히 파악을 못해서 입니다. 지하 1km가 넘어가는 곳의 구조를 안다는 것이 그렇게 쉽지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입니다. 지금의 oil field는 규모를 잘못 정하고, 정작 가장 깊은 곳은 시추 한번 해보지 않고, 변두리에서만 시추를 한 결과입니다. 그러다 보니, 그림에서도 나타나지만, 유전의 징후만 확인될 뿐 경제성 있는 유정을 확보하지 못해서 "Dry and Abandoned, Oil Shows, Plugged"나 “Temporarily Abandoned, Oil/Oil Plugged”가 많은 것 입니다.

 

우리는 이 oil field에서 어디에 가장 많은 crude oil이 있는지 알고 있습니다. 아직 그 지점은 oil field로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 crude oil을 리스크 없이 시추해서 생산하고 싶다면, 우리와 상담하시면 됩니다. 정확한 지점을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Mongolia Oil Exploration

 

Mongolia는 과거 Soviet Russia시절 설정했던 oil block을 대상으로 광구를 매각하였습니다. 전체 block 중에서 일부가 매각이 되고, 일부는 그대로 있는 상태인데, Mongolia 정부에서 주도하는 oil block에서 여러번의 시추를 시도하였으나 매번 실패를 거듭하였습니다.

 

우리의 기술로 확인한 결과, 분명히 crude oil을 매우 큰 양으로 매장이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그들은 매번 엉뚱한 부분을 시추하였던 것 입니다.

 

우리는 고심 끝에 그들에게 우리가 확인한 위치를 제공하였습니다.

 

그들은 해당 좌표에서 시추를 시도하였고, 그 곳에서 대규모의 mega discovery를 하였습니다. 이것을 실제로 엄청난 결과였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방법이 확실하고 근거있으며 리스크가 적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으며, 이러한 방법이 우리와 고객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었습니다.

 

대규모의 유전이 발견된 지금 그곳은 지속적으로 crude oil을 생산하여 전량 모두 중국으로 수출하고 있습니다. Mongolia의 지리적인 특성 상, 바다로 접근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생산되는 원유는 대부분 엄청나게 원유를 필요로 하는 중국으로 수출하게 됩니다.

 

우리는 이러한 방법이 비즈니스가 된다는 것을 확신합니다.

 

석유 가스 탐사를 하는 고객이라면 우리와 손을 잡고, 탐사에서 소요되는 어마어마한 손실을 사전에 막을 수가 있게 됩니다.

 

 

 

  • 한국의 육상 석유시추

 

과거 한국에서 육상과 대륙붕에서 여러번의 석유시추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모두 석유 시추에 실패를 하였고, 그 결과 한국에는 석유가 매장되어 있지 않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가 되어습니다. 특히, 육상에 석유가 매장되어 있다고 주장하면, 소위 석유 전문가들에게 조소 거리가 되곤 하였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기술과 노하우로 한국의 육상을 확인한 결과 놀랍게도 육상에도 석유가 매장되어 있고, 그것도 경제성있는 충분한 양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북한 또한 대규모의 석유를 품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국내의 한 중소기업이 우리의 기술과 노하우를 믿고 육상광구에서 확인한 포인트에 시추를 하였습니다. 우리는 그 광구는 두 개의 층으로 유전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참고로, 우리가 전 세계의 유전광구를 확인한 결과, 유전은 두 종류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한 계층만 있는 유전도 있고 두 개층이 있는 유전이 있습니다. 두 개층이 있는 유전은 석유의 생성시기가 각각 다른 두 종류의 석유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국의 이 육상광구는 바로 두개의 층으로 이뤄진 유전이었던 것 입니다.

 

일단 위에 있는 층까지 시추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진행을 하도록 하였습니다. 약 1km까지 시추를 진행하는 동안, 우리가 지층조사에서 제시하였던 대로 가스층도 만나고 일부 유징을 확인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저류암까지 가기 위해서는 500미터를 더 시추하여야 했으나, 중소기업이다 보니 자본력의 한계로 인하여 더 이상 진행을 못하고 중단을 하고 말았습니다.

 

안타까운 일이지만, 이것이 현실입니다. 자본력있는 큰 기업들은 한국에 석유가 있을 가능성에 대하여 의심을 하기 때문에, 해외에 있는 석유광구에 큰돈을 들이는 어처구니 없는 현실말입니다.

 

시추를 중단한 회사는 현재 다시 시추 자금을 준비중이라고 합니다. 준비가 된다면 그곳은 우리의 탐사결과 가장 확실한 장소이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습니다. 그 날이 빨리와서 한국이 가스뿐만 아니라 석유에 대해서도 산유국에 진입하는 이정표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Anchor 1
Anchor 2
  • 한국의 온천

 

한국의 전라북도 무주에서 한 온천개발 회사는 온천수를 찾기 위하여 그 지역 일대를 3년 간 탐사와 시추를 하였습니다. 한국의 내 놓으라 하는 학자, 연구원 심지어 지관까지 합류하여 온천을 찾기 위하여 노력하였지만 많은 경비만 낭비하고 결과를 얻지 못했습니다.

 

이들은 여러 경로를 통하여 우리와 접촉을 하게 되었고, 우리는 그들의 지역에서 가장 뛰어난 온천수가 흐르는 곳이 어딘지를 확인할 수가 있었습니다. 우리는 그곳에서 온천수가 기존에 전문가들이 말하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흐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800미터 아래에 있다는 것과 약간의 탄산이 섞인 온천수라는 것 또한 확인하였습니다.

 

우리의 예상대로 800미터 시추를 하였고, 그때 온천수가 터졌습니다. 

 

그 회사는 지난 3년간의 노력이 헛수고가 될까봐 노심초사하다가 우리를 만난 후 바로 성공할 수가 있었던 것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기술과 노하우에 대하여 조금의 의심도 가져본 적이 없습니다.

 

석유가스 탐사의 계획이 있다면, 이미 소유하고 있는 석유광구가 있다면 우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성공하는 가장 빠른 지름길입니다.

 

 

Anchor 3
Anchor 4
  • New Zealand Oil Exploration

 

미국의 Taxas기반 석유회사 중에 Anadarko Petroleum사는 New Zealand에 진출하여 대륙붕의 세 곳을 찾아서 탐사를 진행해 왔습니다. Taranaki Basin, Pegasus Basin 및 Canterbury Basin 입니다.

 

이 중에서 Taranaki Basin을 2013년 11월 26일에 최첨단 드릴쉽이라고 자랑하는 Noble Bob Douglas호에서 석유탐사를 위한 시추정을 뚫었습니다. 이 드릴쉽의 하루 작업 비용은 약 1백만 달러에 달하였고, 4.619 km (약 2.8 miles)까지 심해로 내려갔으나 석유나 가스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이에 Anadarko Petroleum사는 2014년 2월 4일 석유탐사에 실패했다고 공식 발표를 하였습니다. 

 

 

 

 

 

 

 

 

 

 

 

 

 

 

 

 

 

 

뉴질랜드 정부 또한 실패에 대하여 크게 실망을 하였고, Anadarko사는 이어서 Canterbury Basin에서 탐사시추를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우리는 Anadarko사가 실패할 것을 미리 알고 있었습니다. 왜냐하면 현재 Anadarko사가 block으로 확정한 Taranaki에는 석유가 매장되어 있지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 근처의 다른 지역에 석유가 매장되어 있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우리의 기술과 노하우로 New Zealand를 탐사한 결과, 육상에는 2 군데, 대륙붕에 4군데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Anadarko사가 우리와 손을 잡았다면, 이번 첫번째 Taranako Basin근처에서 석유 시추에 성공하였을 것 입니다. 하루에 1백만불의 비용이 소요되니, 약 두달 동안 작업을 진행했다고 봤을 때, 약 6천만 달러의 손실이 발생한 것 입니다. 우리와 만났다면, 이 비용에 대한 손실도 발생하지 않고 성공할 수가 있었을 것 입니다. 왜냐하면, 실제 석유가 매장되어 있는 곳은 Taranako Basin과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석유는 4.6 km나 깊은 심해에 있지도 않습니다.

 

한국자원개발연구원과 손을 잡으시면, 석유 탐사 성공의 지름길이 됩니다. 

 

Anchor 5
BNG Canamens.jpg

BNG Canamens.jpg

Bourbon C oil field.JPG

Bourbon C oil field.JPG

Mongolia oil block.jpg

Mongolia oil block.jpg

new zealand_anadarko.png

new zealand_anadarko.png

Korea oil drilling.jpg

Korea oil drilling.jpg

South China Sea tensions

South China Sea tensions

muju spa.JPG

muju spa.JPG

  • South China Sea에서의 석유시추

 

South China Sea는 중국,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지아 등 주변국들의 영해권 분쟁이 있는 지역입니다. 이 지역에서 중국은 Paracel islands 아래쪽에 베트남과 가까운 쪽으로 CNOOC사가 석유 탐사 시추를 진행하였습니다. 이에 베트남은 강력하게 반발을 하였고, 중국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2014년 5월 3일에 석유 탐사 시추를 한다고 선언하고 그 다음날부터 바로 drilling을 시작하였습니다.

 

이 사건으로 베트남과 중국은 계속 언쟁을 벌였고, 여기에 미국이 중재자로 나서 해결을 하려고 했지만, 영토의 문제이다보니 첨예하게 대립만 하게 되었습니다. 어쨌든 중국은 베트남을 무시하고 군함까지 동원해서 시추에 문제가 없도록 한 후, 석유시추를 진행했습니다.

 

사실 과거 South China Sea는 누구의 영해인지도 모를 정도로 애매모호한 상태였고, 평화로운 지역이었습니다. 그런데 2012년 CNOOC는 South China Sea에 crude oil 매장량이 1,250억 배럴, 가스가 500조 큐빅피트로 추정되는 것으로 나오자, 중국이 South China Sea에서 기득권을 확보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충돌 위험에도 불구하고 시추를 강행했던 것 입니다.

 

계속 시추를 진행하던 중국의 CNOOC는 7월 17일 석유시추장비 철수를 결정합니다. 중국은 석유와 가스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시추과정에서 확인된 데이터를 가지고 후속 연구를 할 예정이라고 말하며 하이난(海南)성 링수이자오(陵水角) 동남부 해역으로 장비를 옮깁니다.

 

표면적으로는 중국이 미국의 요구를 무시할 수 없고, 베트남과의 계속적인 무력 충돌에 부담을 느껴서 철수했다고 그 당시 신문이나 뉴스에 보도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우리 한국자원개발연구원의 기술과 노하우로 그 위치를 탐사해 본 결과, 중국이 석유 탐사 시추를 했던 장소에는 석유가 매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즉, 중국이 시추 장비를 철수한 이유는 어떠한 정치적인 이유나 베트남과의 무력 충돌 때문이 아니라, 석유 탐사에 실패를 했기 때문입니다.

 

석유가 펑펑 터졌다면, CNOOC가 철수할 이유가 하나도 없는 것 입니다.

 

South China Sea에는 분명히 상당량의 원유와 가스가 매장되어 있는 것은 분명합니다. 그곳은 우리도 이미 탐사를 진행했던 곳이기 때문입니다.

 

우리와 손잡으면 탐사 리스크를 크게 줄이고 성공할 수가 있습니다.

이곳의 데이터는 이미 우리 손에 있습니다.

 

 

Anchor 6
  • 카즈흐스탄 Roxi Petroleum사의 BNG block

 

미국 일리노이주 Douglas에 위치한 Bourbon Cons. Oil Field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합시다. 

 

이 field는 1956년부터 1986년에 이르기까지 총 109개의 wells을 시추하였습니다. 그 많은 wells중에서 현재 생산 중인 well은 22개에 불과합니다.  1956년에 처음 발견한 이 oil well은 2009년까지 총 생산량은 1,861,200배럴입니다. 

 

현재 기준으로 배럴 당 U$100으로 원유가격을 봤을 때, U$1.861억 달러가 됩니다. 2007년 기준 crude oil의 well당 시추평균 가격이 U$4 million이니깐 시추비용도 현재 가격으로 계산하면 109 x U$4 million = U$4.36억 달러가 됩니다. 물리탐사비나 조광료 비용은 아예 고려를 하지 않더라도, 시추 비용만 놓고 보았을 때, Bourbon Cons. oil field에서 약 U$2.5억 달러 손해를 본 셈인 것이죠. 

 

석유탐사 개발 사업은 성공만 하면 큰 이익을 얻는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이 oil field에서는 성공을 했음에도 엄청난 손해가 발생한 꼴 입니다.

 

왜 이런 결과를 초래했을까요?

 

한국자원개발연구원에서는 그 원인을 알고 있습니다. 그들은 이 oil field의 reservoir 구조를 정확히 파악을 못해서 입니다. 지하 1km가 넘어가는 곳의 구조를 안다는 것이 그렇게 쉽지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입니다. 지금의 oil field는 규모를 잘못 정하고, 정작 가장 깊은 곳은 시추 한번 해보지 않고, 변두리에서만 시추를 한 결과입니다. 그러다 보니, 그림에서도 나타나지만, 유전의 징후만 확인될 뿐 경제성 있는 유정을 확보하지 못해서 "Dry and Abandoned, Oil Shows, Plugged"나 “Temporarily Abandoned, Oil/Oil Plugged”가 많은 것 입니다.

 

우리는 이 oil field에서 어디에 가장 많은 crude oil이 있는지 알고 있습니다. 아직 그 지점은 oil field로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 crude oil을 리스크 없이 시추해서 생산하고 싶다면, 우리와 상담하시면 됩니다. 정확한 지점을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facebook
  • Twitter Clean
  • w-googleplus

© 2015 by Korea Institute of Natural Resource Development.
 

Visit

과천시 별양상가1로 18, 913호

한국자원개발연구원

R#913, 18, Byeoryangsangga 1-ro, Gwacheon-si, KOREA

Call

T: 02-504-0512

M: 010-4237-3399

 

bottom of page